요로 결석이란 말은 듣기만 해도 고통이 느껴지는 착각이 들 정도로 무서운 것이 사실입니다. 요로 결석이란 소변이 만들어져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배설되는 길에 돌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변의 길이 '요로'에 해당되고 그곳에 생긴 돌이 '결석'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요로 결석의 종류로는 신장 결석, 요관 결석, 방광 결석, 요도 결석 등이 있는데 이는 돌이 만들어지는 위치에 따라 나뉩니다.
결석의 색은 대부분 노란색이지만 성분에 따라 종종 검은색인 결석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형태는 별사탕의 모습을 한 결석이 많은 편이지만 경우에 따라 동그랗거나 매끈한 결석도 있고 뾰족한 것들도 종종 있다고 합니다.
요로 결석이 생기는 이유로는 식습관, 유전, 생활 습관, 수술 병력 등 굉장히 다양하다고 알려졌습니다. 소변의 특정 물질이 너무 많아져서 결정이 생기게 되고 여기서 더 커지는 상황을 거쳐 결석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한 번 결석이 생기면 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주 발생하게 되면 옆구리 통증, 요로 감염 등으로 크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결석이 위치한 곳이나 결석의 크기, 합병증 유무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는 옆구리 통증, 배뇨 이상 증상, 혈뇨, 소화기 증상, 고열 등이 있습니다.
1. 옆구리 통증은 요로 결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전해집니다. 한쪽 또는 양쪽 옆구리에서 느껴지는 고통은 진통제를 복용해도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심한 경우, 하복부까지 통증이 전해질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고환까지 통증이 뻗치기도 합니다. 맹장염의 통증과 비슷하다고 느껴져 맹장염으로 의심받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2. 잔뇨감, 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변을 보면서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통증이 너무 심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상황이 생겨 응급실에 가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3. 소변이 빨갛게 보이는 혈뇨가 일반적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고 현미경으로만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4. 속이 더부룩하거나 소화가 되지 않고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5. 대부분의 결석으로는 열이 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지만 세균에 감염됐다면 고열이 발생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결석의 크기가 크다고 무조건 심각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큰 결석일지라도 요관을 막지 않는 결석은 고통을 유발하지 않지만 작은 결석이더라도 요관에 꽉 끼어서 소변의 배출을 완벽하게 막는다면 통증의 정도가 심각하다고 합니다. 이런 종류의 통증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서서히 진행되지 않고 갑자기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요로 결석으로 인해 응급실을 찾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요로 결석을 예방하려면 다음 9가지를 잘 지켜줘야 한다고 전해집니다.
1. 충분한 수분 섭취
요로 결석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으로 꼽히는 것입니다. 하루 최소 10잔 이상의 수분을 섭취해 소변량을 2L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운동을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리고 난 후에는 특히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2. 저염 식단
음식을 먹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짜지 않게 먹는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저염 식단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3. 육류 자제
단백질의 원천인 육류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과다하게 섭취해서 좋을 것은 없습니다. 육류는 소변 내 칼슘, 요산, 수산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결석을 막아주는 구연산을 감소시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4. 칼슘 섭취
하루 3잔의 우유는 소변 내 칼슘양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칼슘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너무 칼슘을 제한하게 된다면 요석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5. 고단백, 고지방 자제
단백질과 지방 모두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되는 영양분이지만 과도한 섭취는 좋지 않습니다.
6. 수산 자제
술, 초콜릿, 시금치, 땅콩, 아몬드, 커피, 코코아 등과 같은 수산이 풍부한 음식을 너무 자주 또는 너무 많이 섭취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하지만 조금 먹는다고 무조건 결석이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몸에 좋은 것은 적당이 먹어도 좋습니다.
7. 비타민 과다 섭취
통상적으로 섭취하는 비타민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하루 2g 이상의 비타민C 섭취는 고용량에 속해 고수산뇨증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결석 환자에게 좋지 않다는 보고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8. 구연산, 채소
구연산과 채소는 요로 결석에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귤, 오렌지, 레몬, 자몽, 매실 등의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9. 약제
우리 식단에 어떤 영양분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구연산이 함유된 약제, 이뇨제 등을 복용하면 요로 결석의 재발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한식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찌개 종류입니다. 그런데 찌개에는 상상 이상으로 나트륨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짜게 먹는 것이 요로 결석에 가장 좋지 않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추운 날씨에 많이 찾게 되는 국물 또한 절대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춥다고 많이 움직이지 않게 되면 결석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유산소 운동 등과 같은 활발한 움직임이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
주로 30대에서 50대에 발병하는 요로 결석은 여성에 비해 남성 환자의 수가 2배 정도 많다고 알려졌습니다. 출산의 고통에 비할 바는 아니겠지만 심하게 겪은 사람에게는 요로 결석이 출산, 급성 치수염과 함께 '3대 통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